자료실/공통 자료실

식별자 이름 표기법

자료수집중 2020. 7. 13.
반응형

식별자(identifier)란 프로그래밍에서 변수, 함수, 클래스 등을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이름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보통 이름만 봐도 어디에 사용하는지 알기 쉽게 직관적으로 표기하는 게 좋습니다.

 

식별자 이름을 표기하는 대표적인 몇가지 방법이 존재합니다.

 

1. 카멜 표기법(Camel Case)

카멜 표기법은 이른바 낙타 표기법이라고도 합니다. 생긴 모습을 보면 낙타처럼 하나만 툭 튀어나온다고 해서 지어진 별명입니다.

카멜 표기법은 기본적으로 소문자로 표기합니다. 단 여러 단어가 들어가는 이름의 경우에는 첫 단어를 제외하고 다음 단어부터는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합니다.

변수나 함수명을 지을때 많이 사용합니다.

ex) int personAge

 

2. 파스칼 표기법(Pascal Case)

파스칼 표기법은 카멜 표기법과 다르게 쌍봉낙타 표기법이라고도 합니다.

모든 단어의 첫글자를 대문자로 시작합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곳은 클래스명을 표기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

ex) class PersonInfo

 

3. 스네이크 표기법(Snake Case)

스네이크 표기법은 팟홀 표기법(Pothole Case)이라고도 불리며 단어와 단어를 _(underscore)로 구분해줍니다.

변수나 함수명을 지을때 많이 사용합니다.

ex) int person_age

 

4. 헝가리안 표기법(Hungarian notation)

헝가리안 표기법은 자료형을 뜻하는 접두어를 붙이는 표기법입니다.

char = ch, string = str, boolean = b 등 지료형을 간소화한 표기를 해주는 방법입니다.ex) strName, bState현재는 많이 사용하지 않는 표기법입니다. 자료형이 변경되면 모든 변수의 이름을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고 현재의 IDE는 정말 많이 발전했기 때문에 자료형을 쉽게 볼 수 있게 된 점도 헝가리안 표기법을 사용하지 않게 된 이유에 크게 작용했습니다.심지어 사용하지 말라고 권고하는 곳도 있습니다.

 

 

표기법마다 주로 사용하는 곳은 조금씩 차이가 나나각각 언어들이 한가지 표기법으로 통일해서 표현을 권장하기도 하니 알아두는 게 좋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