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포인터2 C언어 - void 포인터 지금까지의 모든 포인터는 선언할 때 자료형이 어떤 건지 명시했었습니다. 이번에는 정해놓고 선언하는 포인터가 아닌 그냥 메모리 주소만 선언하는 포인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포인트의 자료형에 void가 들어가게 되면 포인터는 단순히 메모리 주소만 선언된 변수가 됩니다. void *변수이름; void 포인터는 어떤 자료형이든 변할 수 있습니다. #include int main(void) { int num = 50; char cha[] = "Hello world"; int *pnum = # void *p_val= # void *p_val2; p_val2 = # //printf("%d \n", *p_val); //애러발생 //printf("%d \n", *p_val2); //printf(".. 공부 자료실/C언어 2020. 7. 3. C언어 - 포인터와 다중 포인터 앞에서 간간히 포인터를 사용했습니다. 오늘은 포인터와 다중 포인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포인터는 메모리의 주소를 저장하는 변수입니다.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는 결국 메모리 주소에 저장이 되기 때문에 직접적인 접근이 가능해집니다. 포인터의 선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료형 *변수이름; 예제로 살펴보겠습니다. #include int main(void) { int num = 50; //&는 주소 연산자로 변수의 이름을 받으면 해당 변수의 주소를 반환합니다. printf("num의 값 = %d \n", num); printf("num의 주소는 = %p \n", &num); int *p_num = # printf("*p_num의 값 = %d \n",*p_num); printf("*p_num에 저장된 주소는 .. 공부 자료실/C언어 2020. 7. 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