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연산자3 파이썬(Python) - 클래스 _ 메서드(method) 클래스의 메서드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보겠습니다. 처음으로 클래스 메서드와 인스턴스 메서드입니다. 앞에서 했던 클래스 변수와 인스턴스 변수와 같은 맥락입니다. 클래스 메서드도 같은 클래스의 인스턴스들과 공유가 됩니다. 클래스 메서드의 기본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classmethod def 함수명(cls, ...): 수행할 코드 @classmethod는 데코레이터로 정의된 함수를 이용해서 다른 함수를 추가해주는 의미로 @함수명 입니다. 다음으로 인스턴스 메서드의 기본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def 함수명(self, ...): 수행할 코드 가장 큰 차이는 첫 번째 매개변수가 cls와 self란 점입니다. 어떤 차이냐면 cls는 자기 자신의 클래스를 뜻합니다. self는 객체를 뜻합니다. 클래스 메서드에는 인.. 공부 자료실/파이썬(Python) 2020. 7. 16. 파이썬(Python) - 연산자 파이썬의 연산자는 비슷하면서도 다른 연산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빠르게 알아보고 가겠습니다. 대입 연산자 a = 10 b = 3.14 c = 'world' d = False =는 변수에 값을 대입해주는 연산자입니다.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는 + 더하기 - 빼기 * 곱하기 ** 거듭제곱 / 나누기 // 정수만 표시 나누기 % 나머지 예제를 보면서 자세히 보겠습니다. print(10+3) print(10-3) print(10*3) print(10**3) print(10/3) print(10//3) print(10%3) 나누기 관련해서 자세히 보면 10/3는 자료형을 표시하지 않으면 실수형으로 값을 출력합니다. 그래서 소수점까지 나누기를 합니다. 10//3은 소수점을 버리고 정수만 표시해줍니다. 10%3은 정수.. 공부 자료실/파이썬(Python) 2020. 6. 17. C언어 - 연산자 c언어의 연산자를 차례대로 알아보겠습니다. 대입 연산자 int a = 10; 오른쪽 값을 왼쪽에 대입하는 연산자입니다. 산술 연산자 +(더하기), -(빼기), *(곱셈), /(나눗셈), %(나머지) 쉽게 예제로 보면 printf("%d \n", 10 + 3); printf("%d \n", 10 - 3); printf("%d \n", 10 * 3); printf("%d \n", 10 / 3); printf("%d \n", 10 % 3); 차례대로 결과가 나옵니다. 여기서 +(더하기), -(빼기), *(곱셈), /(나눗셈)은 사칙연산으로 값이 나오지만 %는 나누고 나머지 값만 출력이 됩니다. 증감 연산자 증감 연산자 ++과--는 값에 어디에 붙느냐에 따라 값이 조금 다르게 나옵니다. int a = 10; p.. 공부 자료실/C언어 2020. 6. 1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