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자료실/파이썬(Python)

파이썬(Python) - 입력, 출력

자료수집중 2020. 6. 16.
반응형

*Python 3.8과 PyCharm을 사용했습니다.

 

 

파이썬의 입출력을 보면

value = input("입력해주세요 ")
print("입력된 값은 :", value)
print(type(value))

input()은 입력, print()는 출력을 수행합니다.

input()이 기본형으로 ()안에 문자열을 넣으면 입력받기 전에 출력이 됩니다.

"문자열", '문자열' 큰따옴표 작은 따옴표 둘 다 가능합니다.

print(0도 "문자열 ", '문자열' 큰따옴표 작은 따옴표 둘 다 가능합니다. 

,(콤마)를 넣게 되면 한 칸 공백이 자동으로 들어갑니다. 만약 두 문자열을 공백 없이 이어서 출력하려면

,(콤마)대신 +를 입력하면 됩니다.

print("입력된 값은 :" + value)

아니면 "문자열" "문자열" "문자열" 이런 식으로 연속으로 문자열을 넣어도 공백 없이 출력됩니다.

print("Hello" "World" "!")

주의해야 할 점은 print(type(value))의 출력을 보면 <class 'str'>이 보입니다.

type(value)은 변수의 자료형을 확인하는 함수입니다. 근데 5를 입력했지만

자료형은 str(문자열)로 나옵니다.

input은 기본적으로 str(문자열)로 모든 자료를 받습니다. 그래서 자료형을 지정해야 합니다.

value = int(input('입력해주세요 '))
print("입력된 값은 :", value)
print(type(value))

input() int(input())으로 입력을 받게 되면 자료형이 int로 변경된 걸 볼 수 있습니다.

float도 마찬가지로 지정하고 입력을 받아야 합니다.

 

input()은 한 번에 여러 개의 값을 받을 수 있습니다.

num1, num2, num3 = input("세개의 값을 입력하세요:").split()
print("입력된 값은 :", num1, num2, num2)

input().split()를 사용해서 여러 개의 문자열을 받을 수 있습니다. split()는 문자열을 나누어 주는 함수로 splie()괄호 안에 값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눠줍니다. 위의 예처럼 아무것도 넣어주지 않으면 공백(스페이스)가 기본으로 입력됩니다.

그래서 3개의 값을 입력할 때 한 개의 값 입력 후 공백을 주면 다음 값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문자열을 제외한 정수나 실수형은 split()을 그냥 사용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다른 방법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num4, num5, num6 = map(int, input("세개의 값을 입력하세요:").split())
print("입력된 값은 :", num4, num5, num6)

map(자료형, 변환할 값)으로 여러 개의 값을 한 번에 원하는 자료형으로 변환이 가능한 함수 입이다.

input().spli()로 여러 개의 문자열을 int형으로 변환시켜 저장해 주는 방식입니다.

*정수형으로 변환이 불가능한 값을 입력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print()도 더 알아보겠습니다.

파이썬도 이스케이프 문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n 줄바꿈
t 수평 탭
r 캐리지 리턴
\b 백스페이스(backspace)
역슬래시 표시
\' 작은따옴표 표시
\" 큰따옴표 표시
print("Hello\n World \n\n")
print("Hello\t World \n\n")
print("Hello\r World \n\n")
print("Hello\b World \n\n")

print()는 기본적으로 줄바꿈(개행)이 들어가 있습니다.

만약 줄바꿈(개행) 없이 출력하고 싶다면 end=''를 사용하면 됩니다.

print("Hello", end="")
print("World \n")

print("Hello", end="^^^^^^")
print("World \n")

빈 문자열을 입력하면 줄바꿈(개행)이 없어지고 다음 문자열을 이어서 출력됩니다.

원하는 문자열을 입력하면 줄바꿈(개행)이 없어지고 입력한 문자열 출력 후 다음 문자열이 이어서 출력됩니다.

만약 print("문자열", "문자열", "문자열", 정수, 실수)가 있습니다.

각각의 문자열이나 값을 각각 줄바꿈으로 출력하고 싶다면 \n을 전부 넣어주거나 각각 print()를 사용해도 됩니다.

하지만 파이썬에는 쉽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sep=''입니다.

print(1, 2, "Hello", 3.14, sep='\n')

sep=''는 ,(콤마)의 자리에 다른 문자 또는 문자열을 넣을 수 있도록 해줍니다.

위에 예는 \n(개행)을 넣었기 때문에 각각 값이 전부 줄바꿈으로 출력이 됐습니다.

 

'공부 자료실 > 파이썬(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Python) - 리스트 관리  (2) 2020.07.06
파이썬(Python) - 리스트(List)  (2) 2020.07.06
파이썬(Python) - 반복문  (0) 2020.07.06
파이썬(Python) - 조건문  (1) 2020.06.19
파이썬(Python) - 연산자  (0) 2020.06.17

댓글